문해력 (文解力)
[명사]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.
[유의어] 독해력, 문리2
(출처 : 네이버 어학사전)

https://newneek.co/post/lowNvL/
🔔띵동! ‘문해력 논란’ 피자가 도착했습니다!
“뉴니커, 어떻게 생각해?” 뉴니커의 생각을 모아 나눠 먹는 공간, 피자스테이션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! 🍕 뉴닉이 준비한 오늘의 피자, 같이 살펴볼까요? 뉴니커, ‘문해력 논란’을 아나요
newneek.co:443
뉴스레터 뉴닉을 보다가 문해력에 대한 내용을 보고 관심이 가서 관련 내용을 검색해보았다.
지난 해 참여연대에 나온 글을 보면 종종 우리 사회에 문해력 논란이 있음을 알 수 있다. '심심'한 사과에 대해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댓글이 화제가 되었고 언론에서 이를 실으며 논란이 되었다고 한다.
https://www.peoplepower21.org/magazine/1917923
[이슈] 문해력 논란이 일깨운 비판적 읽기의 중요성 - 참여연대 - 월간참여사회
글 신지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‘심심한 사과’는 왜 논란이 되었나 지난 8월 20일, 트위터 트랜드 실시간 상위권에 갑자기 오른 ‘심심한 […]
www.peoplepower21.org
위 글을 읽어보면 우리나라 성인의 75%가 '실질 문맹자'라 이야기하며 이는 어휘력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한다. 그리고 이는 가짜뉴스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하며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마친다.
텍스트를 읽고 단순히 이해하는 수동적인 읽기가 아니라
주어진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능동적인 읽기의 문제였다.
필자는 최근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을 갖고 뉴스와 데이터, 서적을 보고 있는데 한 책에서 가짜뉴스에 대비하여 비판적 읽기를 해야한다는 말한 것이 기억난다. 정보를 파편만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의도를 담아 해석하여 본질적인 문제를 숨기는 식의 대응이 많다는 이유였다.
뉴닉 문해력 코너 글에 맨 하단을 보면 EBS <당신의 문해력+>에서 성인을 위한 문해력 테스트를 낸 링크가 공유되어있다.
https://literacy.ebs.co.kr/yourliteracy/literacyPlusTest
문해력 테스트
문해력 테스트
literacy.ebs.co.kr

잘 풀어야겠다는 생각으로 집중하여 한번 해보았는데 점수는 15점 만점에 14점이 나왔다.

풀어볼 분을 위해 정답은 가렸다. 문해력 테스트라고 하여 어휘력 테스트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전혀 그렇지 않고 경제, 문화,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자료를 보고 이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다. 필자가 틀렸던 9번은 주식 수수료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주식을 하지 않아서 그런지 아직도 왜 틀렸는지 이해를 못하고 있다. (아시는 분은 해설 좀 부탁드려요)
아마 집중하지 않고 대충 풀었다면 몇 문제는 더 틀렸을 것 같다. 슬쩍 내용을 보면 글에서는 언급않는 내용을 뉘앙스로 착각하여 했다고 오해할만한 내용도 있고, 관련 지식 없이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풀어야하는 문제들이 대부분이다. 스스로 문해력이 몇 점인지 확인하는 측면도 있으나, 실제 우리가 보통 어떤 경우 오해하거나 착각을 하게 되는지 경각심을 주는 부분도 있으니 한번씩 테스트를 해보시기를 권한다.
문해력 (文解力)
[명사]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.
[유의어] 독해력, 문리2
(출처 : 네이버 어학사전)

https://newneek.co/post/lowNvL/
🔔띵동! ‘문해력 논란’ 피자가 도착했습니다!
“뉴니커, 어떻게 생각해?” 뉴니커의 생각을 모아 나눠 먹는 공간, 피자스테이션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! 🍕 뉴닉이 준비한 오늘의 피자, 같이 살펴볼까요? 뉴니커, ‘문해력 논란’을 아나요
newneek.co:443
뉴스레터 뉴닉을 보다가 문해력에 대한 내용을 보고 관심이 가서 관련 내용을 검색해보았다.
지난 해 참여연대에 나온 글을 보면 종종 우리 사회에 문해력 논란이 있음을 알 수 있다. '심심'한 사과에 대해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댓글이 화제가 되었고 언론에서 이를 실으며 논란이 되었다고 한다.
https://www.peoplepower21.org/magazine/1917923
[이슈] 문해력 논란이 일깨운 비판적 읽기의 중요성 - 참여연대 - 월간참여사회
글 신지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‘심심한 사과’는 왜 논란이 되었나 지난 8월 20일, 트위터 트랜드 실시간 상위권에 갑자기 오른 ‘심심한 […]
www.peoplepower21.org
위 글을 읽어보면 우리나라 성인의 75%가 '실질 문맹자'라 이야기하며 이는 어휘력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한다. 그리고 이는 가짜뉴스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하며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마친다.
텍스트를 읽고 단순히 이해하는 수동적인 읽기가 아니라
주어진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능동적인 읽기의 문제였다.
필자는 최근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을 갖고 뉴스와 데이터, 서적을 보고 있는데 한 책에서 가짜뉴스에 대비하여 비판적 읽기를 해야한다는 말한 것이 기억난다. 정보를 파편만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의도를 담아 해석하여 본질적인 문제를 숨기는 식의 대응이 많다는 이유였다.
뉴닉 문해력 코너 글에 맨 하단을 보면 EBS <당신의 문해력+>에서 성인을 위한 문해력 테스트를 낸 링크가 공유되어있다.
https://literacy.ebs.co.kr/yourliteracy/literacyPlusTest
문해력 테스트
문해력 테스트
literacy.ebs.co.kr

잘 풀어야겠다는 생각으로 집중하여 한번 해보았는데 점수는 15점 만점에 14점이 나왔다.

풀어볼 분을 위해 정답은 가렸다. 문해력 테스트라고 하여 어휘력 테스트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전혀 그렇지 않고 경제, 문화,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자료를 보고 이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다. 필자가 틀렸던 9번은 주식 수수료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주식을 하지 않아서 그런지 아직도 왜 틀렸는지 이해를 못하고 있다. (아시는 분은 해설 좀 부탁드려요)
아마 집중하지 않고 대충 풀었다면 몇 문제는 더 틀렸을 것 같다. 슬쩍 내용을 보면 글에서는 언급않는 내용을 뉘앙스로 착각하여 했다고 오해할만한 내용도 있고, 관련 지식 없이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풀어야하는 문제들이 대부분이다. 스스로 문해력이 몇 점인지 확인하는 측면도 있으나, 실제 우리가 보통 어떤 경우 오해하거나 착각을 하게 되는지 경각심을 주는 부분도 있으니 한번씩 테스트를 해보시기를 권한다.